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능현리에 있는 명성황후의 생가.

1973년 7월 10일 경기도유형문화재 제46호로 지정되었다. 고종황제(1863~1907)의 비 명성황후 민씨(1851~1895)가 태어나서 8세까지 살던 집으로 1687년(숙종 13)에 부원군 민유중(閔維重)의 묘막(墓幕)으로 건립되었다. 당시 건물로서 남아 있는 것은 안채 뿐인데 1975년과 1976년에 한번 중수하였다가 1996년에 다시 수리하면서 행랑와 사랑, 별당 등을 함께 복원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넓은 바깥마당에서 솟을대문을 지나 ㅡ자형 행랑채가 있고, 중문과 사랑이 붙은 ㄱ자형 문간채와 안채가 안마당을 둘러싸고 ㅁ자형을 이루며, 그 옆으로 독립된 ㅡ자형 별당이 있다.

안채는 14칸짜리 민도리집이고 8칸짜리 팔작지붕인 본채 한쪽에 6칸짜리 맞배지붕 날개채가 붙어 ㄱ자형을 이룬다. 본채는 전면에 툇간이 있는 5량구조로 안방(2칸)과 대청(4칸), 건넌방(1칸 반), 부엌(2칸)이 일자로 배치되어 있고 날개채는 3량구조로 안방 앞쪽에서 꺽어져 방(1칸 반), 부엌(3칸), 광(1칸 반)으로 이루어졌다.  그리 크지 않은 재목을 사용한 아담한 규모이지만 부재의 형태와 결구법 등에서 조선중기 살림집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기념관

사진촬영 금지구역이다 - 이유는 모르겠고

 

 

 

 

생가로 들어가 본다

 

 

 

 

 

별당

 

 

 

 

 

탄강구리비

명성황후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하여 고향집에 세운 비석이다

탄강은 왕이나 성인이 태어났음을 말하고 구리는 고향이라는 뜻이다

 

 

 

 

민유중묘 신도비

민유중은 명성황후의 6대조 할아버지다

신도비는 묘로가는 길목에 세워져 임금이나 고관의 업적을 기리는 비이다

 

 

 

 

감고당

인현황후가 머물던 사저이며 명성황후가 간택전까지 머물던 곳으로 서울에 있던것을 이전

 

 

 

 

 

 

중문채

중간계층인 청지기등이 거처하였던 곳

 

 

 

부엌과 아궁이

 

 

 

 

 

행랑채

머슴들이 기거하던 곳으로 곡식을 저장하는 장소로도 활용

 

 

'돌아다니기 > 수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도 일몰  (0) 2011.01.12
용주사  (0) 2010.12.20
목아박물관  (0) 2010.12.02
와우정사  (0) 2010.10.30
은포수농원  (0) 2010.09.29

+ Recent posts